부동산 분석 가능한 사이트, 부동산 실거래가 확인 가능한 사이트, 최근 시세 분석 가능한 사이트 등 여러 가지 사이트를 비교했습니다. 호가와 실거래가를 확인하고 매수심리를 알아보며 우리 모두 부자 됩시다.
1. 호갱 노노
- 제가 인스타보다 많이 쓰는 어플이 호갱 노노입니다.
어플 디자인이 직관적이고 보기 편하게 되어있습니다.
최근 매매, 전월세 가격을 그래프와 함께 보여줍니다.
아파트 기본정보와 평면도, 주차공간도 보여줍니다.
주변 상권 정보도 색상으로 표현해서 한눈에 들어옵니다.
주변 학군을 보여주는데 학군의 수준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이야기'에는 실거주자나 궁금한 게 있는 사람들이 글을 쓰는 게시판이었지만, 요즘은 부동산 토론의 장이 되었네요.
아실보다 실거래가 반영은 조금 늦습니다.
2. 네이버 부동산
여러분에게 가장 친숙한 사이트가 아닐까 싶네요.
네이버 부동산에 있는 가격은 호가입니다.
집주인들이 이렇게 물건을 내놓았다! 입니다.
요즘 같은 하락기에는 네이버 부동산 가격과 실거래가가 맞지 않습니다.
집주인들이 내놓는 가격에 거래가 안되고 조용히 급매만 거래되는 중이라서요.
부동산 돌면서 연락처 남겨야 급매를 잡는다는 말이 소문이 무성합니다.
그런데 네이버 부동산 탭에서 개발, 지적 편집도 등을 이용해 전반적이 도시 계획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방의 부동산을 보실 때는 매우 유용합니다.
수도권 개발계획도 눈에 확 들어오게 보실 수 있습니다.
3. kb 부동산
단지 시세, 지역 평균 시세 등을 지도에서 범례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KB 통계가 유용합니다.
통계자료를 보는 게 낯선 분들은 불편하시겠지만 몇 번만 해석하면서 읽어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4. 부동산 뱅크
부동산 매물과 시세를 분석할 수 있었던 전통 있는? 오래된 사이트입니다.
매물도 놓으실 수 있어요.
게시판이 활성화되어서 부동산에 관심 있는 사람들끼리 많은 이야기를 나누던 사이트입니다.
디자인이 조금 클래식한 느낌이 있습니다.
저는 사용자 친화적인 느낌은 아니라서 잘 안 보게 되는군요.
5. 아실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사이트입니다.
어플 메인화면입니다.
지도부터 보여주는 다른 부동산 어플이랑은 좀 다릅니다.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분석 가능한 기준들이 다양합니다.
갭 투자, 미분양, 학군 비교까지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학군 비교는 추가적인 엄마들의 정보가 더 정확하긴 합니다.)
6. 부동산 114
- 매물 등록, 시세 보는 사이트입니다.
** 어떤 부동산 어플은 직관적으로 눈에 확 들어오기도 하지만,
뭐든지 익숙해지는데 시간은 좀 필요한 것 같아요.
차분히 이거 저거 사용하다 보시면 본인한테 잘 맞는 부동산 시세 파악 어플이 있을 겁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부등본 무인 발급기 위치 (0) | 2022.12.04 |
---|---|
등기부등본 열람/발급 방법 (0) | 2022.12.04 |
둔촌주공 청약을 위한 핫이슈 정리 (1) | 2022.12.02 |
종부세 A to Z (0) | 2022.12.01 |
LTV DTI DSR 부동산 대출 용어 (0)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