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과 재개발은 모두 분동산 분야에서 이용되는 용어입니다. 재개발은 지역을 다 부시고 깔끔하게 재정비하는 것, 재건축은 오래된 건물을 새로 짓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절차와 차이점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재개발
재개발은 특정 지역의 구조물을 완전히 제거하고,그 지역을 처음부터 새롭게 개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도시의 낡은 부분을 새롭게 바꾸거나, 더 나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재개발은 주로 상업 지구, 산업 지구, 주거 지구 등 다양한 유형의 부동산에서 이루어지며, 지역의 전반적인 풍경과 기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재개발은 주민들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토지소유자들의 동의를 받아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다른 장소로 이사합니다.
재개발 진행시 임차인의 주거 대책비, 주민들은 보상금으로 정착비, 주거이전비, 이사비 등 받을 수 있습니다.
재개발 완료 후 입주 의사가 있는 주민들은 입주권을 받으며 분담금을 내야 합니다.
2. 재개발 절차
1) 정비구역 지정
2)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
3) 조합의 설립
4) 시공사 선정
5) 사업시행계획 인가
6) 분양공고 및 분양 신청
7) 관리처분계획인가
8) 일반 분양
9) 사업의 완료
3.재건축
재건축은 기존의 건물을 완전히 파괴하고 새로운 건물을 지어 대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주로 도심지역에서 이루어지며, 기존의 구조물이 노후화되었거나 더 나은 설계 혹은 시설로 교체하려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재건축은 주로 고층 아파트 등 주택 건물에서 이루어집니다.
재건축을 진할 때는 해당 건물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하며, 주로 해당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 재건축 후에도 같은 장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보장받지만, 일정 부분 돈을 내야 합니다.
4. 재건축 절차
1) 기본계획 수입
2) 안전진단 - E 등급을 받는 경우에 재건축 진행이 가능합니다.
3) 정비구역지정
4) 추진위원회 설립
5) 조합설립과 시공사 선정
6) 사업시행인가 및 감리자 선정
7) 관리처분계획 (분양공고 및 분양신청, 이주 철거)
8) 착공 및 분양
9) 입주 및 청
6. 재개발과 재건축의 차이점
재개발은 공공의 성격이 강합니다.
지역 전체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
낙후된 구역 전체를 싹 밀고 재정비해서 반듯하게 아파트와 상가를 다시 올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건축은 주민들이 힘을 합해서 하는 경우입니다.
간혹 아파트에 '리모델링 동의율 60% 달성'과 같은 문구가 달린 것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런 식으로 주민들의 동의를 받은 후 일정 비율 이상 달성 하면 아파트를 새로 짓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이 분담금을 얼마나 내야하고 집값이 올라서 그만큼 이익을 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작구 수방사 부지 공공분양 사전청약 (0) | 2023.05.31 |
---|---|
재건축 보상금 기준 (0) | 2023.05.27 |
역세권 청년주택이 뭔가요? (0) | 2023.04.16 |
역세권 청년주택(공공임대)_23년 3월 기준 (0) | 2023.04.16 |
전입신고 하는법 (신혼부부) (0)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