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전입신고 하는법 (신혼부부)

by 돈냄새킁킁 2023. 3. 11.

신혼부부 전입신고, 자취생 전입신고 처음하는 건 뭐든지 낯설고 어렵지만 전입신고는 정말 간단합니다. 온라인에서 24시간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을 잘 못 하셨다면, 주민센터 업무 시간에 서류를 확인하고 연락을 주십니다. 간단하게 아래 글에서 도움받아 가세요.

*전입신고하는 곳

1. 온라인

- 정부 24

- 24시간 신청이 가능합니다.

-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공동인증성, 간편 인증) 

 

 

- 핸드폰으로 하셔도 되지만, 노트북으로 하는 게 더 편했습니다. 

- 정부 24 사이트의 오른쪽 상단에 검색창이 있습니다.

전입신고
정부24 전입신고 검색창

 

2. 오프라인

- 해당 주소지의 주민센터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 준비물 : 전입신고서, 임대차 계약서 원본, 신분증

 

*신혼부부 전입신고

신혼부부 전입신고 시 처음으로 주소를 합치게 되면 한 명이 세대주가 되고, 다른 한 명은 세대원이 됩니다.

집을 계약한 사람이 세대주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절차

세대주 전입신고 -> 세대원 전입신청 -> 세대주 확인 

 

* 전입신고를 꼭 이사 당일에 해야 하나?

1. 새로운 곳으로 이사 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해야 하며, 2주 안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 전입신고를 해야 거주지에 대한 임차인의 대항력이 생깁니다.

해당 집이 경매로 넘어가거나 문제가 생긴다면,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한 우선 변제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입신고를 꼭 바로 하시길 바랍니다.

 

*저의 혼인신고 후 첫 전입신고 실패담

 

저는 남편이 세대주로 전입신고를 한 후에 세대원 전입신청을 하려고 했는데 정부 24에서 신청하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저도 세대주로 신청을 했습니다.

 

다음날 주민센터에서 다시 신청해야 한다고 전화를 주셨습니다.

저는 어머니집에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었는데 남편 집의 세대원으로 변경하는 것 이기 때문에 직접 주민센터로 방문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주민센터로 방문할 때에는 세대주인 배우자와 동행하거나 세대주의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