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 상담비, 세무사 고르는 법, 상담받는 이유, 경험담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세무사 접근 어려워하지 마세요. 모든 분야에는 전문가가 있는 거니까요.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일반인의 입장에서 궁금했던 것들과 제가 상담받고 얻은 지식을 적어보았습니다!
세무사 상담비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0원부터 1000만 원 까지 차이가 큽니다.
하지만 주로 30분~1시간에 10만 원인 경우가 많습니다.
무료 상담을 받게 되신다면 여러 군데 상담해보시고 잘 맞는 세무사를 찾아보세요.
무료로 상담받으실 경우 정말 세무사가 해주는 게 맞는지, 직원이 해주는 건 아닌지 잘 확인해 보세요.
상속세의 경우 상담은 0~10만 원입니다.
상담 후 해당 세무사에게 일 처리를 맡기신다면 상담비는 수임료 안에 포함되어 무료로 처리해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임 이후 일 처리를 해주시는데, 이때 금액 차이가 크게 납니다.
사전에 정확히 물어보고 시작하세요.
(상속 재산의 비율로 계산표가 있는 경우가 있고, '400~500입니다.'라고 말해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격도 중요하지만 원하는 정보의 정확도가 중요하죠.
세무사 상담받고 오히려 나중에 세금을 더 낼 수도 있으니까요.
ㄱㄱ
세무사 고르는 법
상담비 무료라서 세무사를 고르시면 안 됩니다.
물론 10만 원짜리 상담보다 무료 상담이 더 가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하는 상담 분야가 어떤 것인지 스스로 인지를 하지고 상담하려는 세무사의 주력 분야를 보시면 좋습니다.
적어도 2~3 군데 정도는 안내를 받아보시고 세무사를 고르셔야 합니다.
1. 세무사의 경력과 내가 원하는 분야가 같은 곳 (의사가 전문분야가 있는 것과 똑같습니다.)
2. 소통이 잘 되는 곳 (나와 잘 맞는 곳)
3. 주력 업무를 세무사가 직접 하는 곳 (직원에게 상담을 시키지는 않는지...)
(양도세 세무 상담의 경우 기피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요즘 양도세 세법이 너무 복잡하네요.)
세무사 상담을 받는 이유?
1. 절세
2. 소명자료 준비
3. 불법인가 합법인가?
4. 과징금 / 벌금 / 가산세
5. 지원금
6. 한 번에 처리해야 하는 일이 많아서 일반인이 하기 힘들 때.
절세뿐만 아니라, 이후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 대처 방법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경험담)
저는 최근에 세무사 상담을 받았습니다.
경험이 없어서 막연히 비싼 상담료가 들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습니다.
변호사 상담비용과 비교했을 때 반 가격이었고, 세무사 상담 만으로 충분히 답변을 받았습니다.
아직 일을 진행하는 중이라 추후에 한 번 더 상담받을 예정입니다.
세무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오래 공부하셨고 그만큼 경험과 노하우가 있으실 테니
전문가의 지식과 시간을 쓰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비용을 내는 건 당연하겠죠.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TIp,
상담 시 녹음을 하시면 좋습니다.
낯선 용어들 때문에 바로 전체적인 이해가 안 될 수 있습니다.
녹음해 놓으시고 다시 듣기 하시면 편합니다.
* 세법은 매년 변합니다.
몇 개월 사이에도 법이 변해서 아무리 자격증이 있어도 계속해서 그 분야에 관심이 없으면 어렵습니다.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 소득 비과세 대상 (0) | 2022.12.21 |
---|---|
월세 연말정산 세액공제/ 소득공제 (0) | 2022.12.19 |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및 신고 방법 (0) | 2022.10.18 |
자동차 과태료, 범칙금 변경 사항 알아둡시다. (0) | 2022.10.11 |
부모자식간 차용증 등기소에서 확정일자 받는 법 (0) | 2022.09.07 |
댓글